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전체

ARTIK::Tizen으로 IoT개발 이번엔 또 아틱530보드삼성은 타이젠을 중심으로 한 IoT어플인 smartthings를 지원하는데이게 아틱은 530밖에 안된다.(라즈베리파이3도 지원) 예제 하나 실행시키는데 하루를 다 쏟았다.뭘 그렇게 설정해 줄게 많고 복잡한지..골때린다 이거.. 그래도 여차저차 해서 예제코드인 네티워크오디오 실행성공.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오디오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.이거를 잘 분석해서 응용해야하는데..쉽지않다.. 책상은 난장판이 되었다. 더보기
중고책 서점 시간이 남을땐 중고책 서점을 둘러보는게 재밌다. 책값이 정말 비싼데 새 책이여야하는 문제집이 아닌 이상에야 새책을 사는 이유가 없다. 간혹 오래된 고전을 사서 읽곤한다. 운이 좋으면 전공책도 구할 수 있다. 항상 도서관에서 대출폭주가 나는 전공서적 고체전자공학 번역본도 여기서 깨끗한 책을 구했었다. 오늘은 이천원짜리 앏은 책을한권 사들고 집에간다. 더보기
게임이 재미없다. 너무 바쁘게 달려온 탓인가정말로 오랜만에 온 아무것도 할일없는 주말인데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. 공부는 하기싫다.운동은 너무 덥다. 어쩔 수 없이 컴퓨터를 켜는데몇판 하면 재미가 없고 지친다. 아무 생각없이 하스스톤 투기장을 하는데 어쩌다가 12승까지 왔는데도아무런 기쁨도 없고 감흥도없다. 노는 법을 까먹었다. 더보기
ARTIK::거리센서 모듈 연구 3V전용 센서모듈이다. 전원을 3.3V로 인가해서 실험해 봤다.물론 코딩을 멋지게 해낼 능력이 안되므로 node-red의 힘을 이용한다. 손바닥을 센서 가까이에 대 보니 최대 3.6V가 읽혀진다. 데이터시트 상으로 5V동작시에 최대전압이 3.6V이다.이 모듈은 3V전용인데?게다가 입력이 3.3V인데 더 커진다구? 뭔가 착오가 있는건지 뭔지 잘 모르겠다 더보기
ARTIK::blinkm RGB LED모듈 I2C 제어 이 아름다운 LED를 제어해보자 i2c제어 프로그램이 깔려있어야 하는데구글링하면 나옴 ,,10초면 깔수잇다 i2cdetect로 1번버스의 i2c주소 확인.(보통 1번버스일것입니다.)이 모듈은 칩 어드레스가 0x09가 디폴트. blinkm의 데이터시트 확인결과0x6f명령어로 실행중인 스크립트를 먼저 종료시켜야 한다.왜냐하면 이 모듈 자체가 0x70인 스크립트가 전원만넣으면 자동실행되고있기 때문이다 (이것때문에 개고생) 스크립트 종료 안하고 i2cget해보면 계속 0x70만 뜬다. 일단 스크립트를 종료시킨후0x6e(색상바로바꾸기) 이나 0x63(서서히바꾸기)으로 제어한다명령어 다음에는 각각 R G B에 해당하는 0~255의 값을 차례대로 넣은 후block의 데이터를 넣었기 때문에 마지막 MODE에 해당하는 .. 더보기
모기가 없다 올해여름에는 모기를 단 한마리도 안물렸다.그 많던 모기들은 다 어디로 간걸까? 아니지.. 생각해보니 작년에도 많지는 않았던것같고..재작년에도 별로없었던것같은데.. 이렇게 무더운날 모기까지 있었으면 얼마나 짜증날까모기야 없어져줘서 고맙다 더보기
Raspberry pi 3 Model B 오늘도 아틱710보드하고 힘겹게 씨름했다.I2C로 제어하는 RGB혼합형 LED모듈 하나 제어하지 못하고 쩔쩔매며 하루를 다 보내버렸다. 아틱은 라즈베리 파이와 닮은점이 많지만, 정보가 너무 없다.어떤 센서나 모듈이라도 보통 아두이노나 라즈베리파이용 예제를 제공하곤 하니,, 라즈베이파이부터 공부하며 익혀야 하나 싶기도 하다.. 더보기
ARTIK::Arduino IDE로 개발?!, 무선연결?! 네트워크 설정실패로 타이젠을 버리고 우분투로 갈아탔다.설치는 정말 빨랐다.와이파이를 검색했을 때, 안테나가 있고 없고 차이가 굉장히 크다.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안테나는 필수인 듯 싶다. 아두이노와 아틱 모두 ARM프로세서 기반 개발보드이기 때문에..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에 호환된다.https://developer.artik.io/documentation/developer-guide/gpio/gpio-mapping.html위의 링크에서 아두이노와 아틱의 pin호환을 확인할 수 있다.아쉽게도 아틱 보드 위의 LED제어는 불가능하지 싶다.지금 내가 LED나 저항소자가 없어서 간단한 blink예제도 확인이 불가능하다. 쩝,.. 그런데 놀라운 구석이 있다.한번 USB포트로 연결하면 알아서 네트워크를 잡아줘서.. 더보기
ARTIK::LED제어하기 유튜브에 있는 ARTIK 입문 영상을 참조해서 따라해봤다. 타이젠이여도 그 근본은 리눅스이니.. 되긴 된다. gpio38을 gpio28로 수정하면 바로위에있는 빨간색 LED제어가 가능하다. 더보기
ARTIK 710 (DEV KIT?) 삼성에서 커져가는 IoT산업을 노리고 출시한 개발보드.이름만 알았었는데 최근 대학생을 위한 챌린지 대회도 개최하는 등 개발자 수를 늘리는데 힘쓰는중이다. (상금이 꽤 된다)한번 만져보고 싶긴 했는데 운좋게 빌릴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. 이래뵈도 가격은 꽤 나가는 모양이다. 보드에다가 프로그램을 업로드 하는거를 해본것은 아두이노나 FPGA가 전부이다. 근데 이 둘은 OS가 탑재되어있지 않은데 라즈베리파이나 아틱은 보드에 OS가 있어서 어떤식으로 개발하고 작동하는지 시퀀스 부터 잘 모르겠다.ARTIK710은 원래 리눅스 페도라가 들어있는데.. 심지어 이 보드에는 타이젠이 올라가있단다. 맙소사..그냥한번 천천히 둘러봐야겠다.. 더보기